
한방통신사 신다은기자 기자 | 전라남도의회 경제관광문화위원회 최선국 의원(더불어민주당·목포1)은 21일 열린 일자리투자유치국 소관 2026년도 예산안 심사에서 “기업유치 경쟁이 본격화되는 상황에서도 전남도의 대응은 여전히 관성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일자리투자유치국이 제출한 2026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투자유치활동 전개 사업비는 전년 대비 오히려 327만 원이 감액된 3억 6천15만 원으로 편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 의원은 “삼성ㆍSKㆍLS 등 대기업의 투자 논의가 이어지는 만큼, 이들과 협력하는 중견·중소·벤처기업의 동반 이전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들을 직접 만나 발굴하고 설득해야 할 현장 활동 예산이 오히려 줄어든 것은 전략 부재의 증거”라고 비판했다.
이어 “지금은 직접 기업을 찾아가 정주ㆍ입지 여건을 제안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선제적 대응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전남 스타트업 생태계의 취약성을 짚으며 “대기업과의 협력 경험은 지역 스타트업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결정적 요소”라며 “전남도가 협력 구조를 정책적으로 설계하고 연결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창업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대학ㆍ연구기관ㆍ창업지원 플랫폼을 연계한 전남형 혁신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최 의원은 “산업 변화 속도에 전남의 준비 속도가 못 미치고 있다”며 “기업유치 전략뿐 아니라 창업지원, 인재양성, 기술혁신 체계를 함께 재정비해 신산업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뉴스출처 : 전라남도의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