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방통신사 신유철기자 기자 | 충남교육청은 2026년도 예산안을 4조 6,607억 원 규모로 편성해 충청남도의회에 5일 제출했다. 이는 올해 본예산보다 8억 원, 0.02% 증가한 금액이다.
세입예산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 ▲이전수입 4조 5,318억 원, ▲자체수입 65억 원, ▲전년도이월금 등 기타수입 425억 원을 편성했으며, 통폐합학교 교육환경개선을 위해 ▲적정규모학교 육성지원기금에서 67억 원, 재정수입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 ▲통합재정 안정화기금에서 732억 원을 전입했다.
세출예산은 ▲인건비 2조 5,562억 원, ▲학교‧기관운영비 7,975억 원, ▲교육사업비 7,912억 원, ▲시설사업비 4,775억 원, ▲민간투자사업(BTL) 상환 333억 원, ▲예비비 50억 원 등으로 편성했다.
세출예산안 편성 방향으로는 학교 현장 중심 운용과 교육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목표로 ‘안전’, ‘미래’, ‘책임’, ‘교육협력’에 중점을 두었고, 행복교육, 미래교육, 시민교육, 책임교육, 지원행정 등 충남미래교육 5대 정책 위주로 예산을 편성하여 학교 현장의 체감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주요 세출 사업으로 안전하고 든든한 학교 울타리에서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문화 조성을 위해, ▲교육활동 침해 예방과 피해 교원 회복 지원 등 교권보호에 29억 원, ▲학교폭력 없는 안전한 학교문화 조성을 위해 학교폭력 예방‧지도에 71억 원, 내년 3월 전면 시행되는 학생맞춤통합지원 체계 구축을 위해 ▲학생맞춤통합지원센터 운영과 이끎학교 운영에 11억 원을 편성했다.
미래형 교육과정 운영과 수업‧평가 혁신으로 미래 교육을 본격 실현하기 위해 ▲충남형 아이비(IB)학교 운영, 혁신학교 문화 확산, 미래형교육과정 본보기 학교 운영 등에 47억 원, 디지털 역량 함양 교육으로 체계적인 인공지능 교육 기반을 마련하고자 ▲인공지능 정보교육과 인공지능 융합교육 이끎학교 운영에 14억 원, ▲디지털교과서 사용료 지원과 스마트교육 환경 구축에 74억 원을 편성했다.
기초학력 특별보충과정 운영, 온채움선생님 지원, 학습종합클리닉센터 운영 등 ▲기초‧기본 학력 보장과 향상을 위해 118억 원, 모두가 함께 배움을 여는 충남형 늘봄 체제 구축을 위해 ▲돌봄‧방과후학교 운영에 523억 원, ▲유아 돌봄과 방과후과정 운영에 243억 원, ▲특수교육 방과후학교 지원에 78억 원, 상호문화 이해교육을 통한 다문화 인식 개선과 감수성 제고를 위해 ▲다문화교육 지원에 47억 원을 편성했다.
또한, 교육청과 지자체,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대와 협력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충남마을교육 공동체와 충남교육 행복지구 운영에 50억 원을 편성했으며, 지역사회와 함께 지역산업 맞춤인재 육성을 위해 ▲산학협력 교육과정과 산학협력 취업지원센터 운영에 39억 원을 편성했다.
김지철 교육감은 “최근 3년 연속 회계연도 중 교부금 감액으로 인해 불안정한 교육재정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내년도 우리교육청 예산은 8억 원 증가하는데 그쳐 인건비 상승분과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하면 사실상 축소된 상황이지만, 우선순위에 따른 선택적 편성으로 기초학력 보장, 늘봄‧방과후학교, 특수교육, 다문화교육 등 공교육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예산을 편성했다”라며, “학생들의 배움과 성장을 위한 사업들은 꾸준히 지속하여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번에 제출한 예산안은 11월 5일부터 열리는 충청남도의회 제362회 정례회에서 심의받게 되며, 교육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거쳐 다음 달 15일 본회의에서 확정될 예정이다.
[뉴스출처 : 충청남도교육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