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방통신사 신유철기자 기자 | 경상남도교육청은 도내 농산어촌의 작은학교 학생들이 함께한 ‘2025학년도 공동 수학여행’이 6월부터 10월까지 안전하게, 그리고 교육적으로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경남교육청은 지역·학교의 경계를 넘어 ‘모든 아이는 함께 배우며 성장한다’는 공동교육 철학을 실현하고자, 각 지역 교육지원청과 협력해 지역 특색과 교과 연계가 살아 있는 공동 수학여행을 운영했다.
이번 공동 수학여행은 학교 간의 벽을 허물고 학생들이 서로 배우고 협력하는 교육공동체의 정신을 실천하기 위해 추진됐으며, 지역별 교육지원청이 주관해 학생들의 배움과 교류의 폭을 한층 넓혔다.
합천, 해외에서도 함께 자란다 - 일본 공동체험 수학여행
합천교육지원청은 6월 2일부터 5일까지 3박 4일 동안 일본 오사카·교토·고베·나라 일원에서 ‘합천 공동학교 해외문화체험(수학여행)’을 추진했다.
초계초, 쌍책초, 청덕초, 쌍백초, 대병초 등 5개교의 학생 15명과 인솔자 10명이 함께 참여했다.
학생들은 유니버설스튜디오, 동대사, 청수사 등 일본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며 세계 속에서 자신감을 키우는 시간을 가졌다.
함양, 협력과 배려로 완성한 공동 배움의 여정
함양교육지원청은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2박 3일간 경기·서울 일원에서 ‘함양 공동학교 수학여행’을 운영했다.
금반초, 마천초, 백전초, 병곡초, 서상초, 서하초, 수동초, 안의초, 위림초, 유림초, 지곡초 등 11개교의 학생 60명과 교직원 18명이 함께 참여했다.
에버랜드, 청와대, 북촌한옥마을, 국립중앙박물관 등을 탐방하며 학생들은 “혼자가 아닌 함께 배우는 힘”을 몸소 느꼈다.
작은학교가 함께 만든 ‘배움의 도시 여행’ - 고성
고성교육지원청은 9월 24일부터 26일까지 서울과 경기 일원에서 ‘2025 고성 공동학교 수학여행’을 실시했다.
개천초, 마암초, 삼산초, 상리초, 영오초, 영오분교, 율천초, 하이초, 하일초, 회화초 10개교 64명의 학생들이 하나의 공동체로 움직였다.
학생들은 서대문형무소와 경복궁, 북촌한옥마을, 롯데월드 등지에서 한국의 역사와 문화, 예술을 함께 배우며 협동과 소통의 가치를 체득했다.
남해, 공동체와 함께한 과학·문화 탐험
남해교육지원청은 10월 15일부터 17일까지 서울과 용인 일원에서 ‘한국의 과학, 문화 그리고 자연을 탐험하다’를 주제로 공동학교 수학여행을 진행했다.
고현초, 남명초, 도마초, 미조초, 삼동초, 상주초, 설천초, 이동초, 지족초, 창선초, 해양초 등 11개교 98명의 학생과 인솔자 18명이 참여했다.
학생들은 코엑스 아쿠아리움, 에버랜드, 국립중앙과학관 등을 견학하며 과학과 문화의 융합을 경험하고, 협력적 배움을 실천했다.
“따로 또 함께” - 창녕, 제주에서 교과가 살아 있는 수학여행
창녕교육지원청은 지난 10월 22일부터 24일까지 2박 3일 동안 제주도 일원에서 ‘2025 창녕 공동학교 수학여행’을 운영했다.
고암초, 대합초, 이방초, 이방초 장천분교, 계창초, 도천초, 장마초, 길곡초, 부곡초, 부곡초 학포분교, 유어초 등 11개교의 학생 54명이 함께했다.
학생들은 주상절리와 국립제주박물관에서 화산지형을 배우고, 에코랜드와 스누피가든에서 예술과 생태의 융합체험을 즐기며 “교과서 밖의 배움”을 경험했다.
의령, 일본에서 펼친 공동교육의 장
의령교육지원청은 10월 28일부터 31일까지 일본 오사카·교토·고베 일원에서 ‘의령 공동학교 초등 일본 수학여행’을 실시했다.
가례초, 낙서초, 남산초 궁류분교, 대의초, 부림초, 부림초 봉수분교, 용덕초, 유곡초, 정곡초, 칠곡초, 화정초 11개교 학생 36명과 인솔자 15명이 함께 참여했다.
학생들은 동대사, 청수사, 유니버설스튜디오, 오사카성 등을 탐방하며 사회·과학·예술이 융합된 글로벌 배움의 장을 완성했다
“공동 수학여행은 작은학교를 잇는 다리”
경상남도교육청은 이번 공동 수학여행을 통해 작은학교 간 교육격차를 해소하고, 협력 기반의 미래교육 모델을 구현했다고 평가했다.
각 지역 교육지원청은 수개월간의 준비 끝에 학생 안전과 교육과정 연계, 학부모 협력체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했다.
김태정 체육예술건강과장은 “공동 수학여행은 단순한 여행이 아니라 작은학교들이 서로를 배우고 함께 성장하는 교육 실천의 장이었다”라며 “앞으로도 ‘공동교육과정’의 기반 위에서 모든 아이가 함께 배우는 경남교육을 만들어가겠다”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교육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