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방통신사 신유철기자 기자 | 경상남도의회 허동원 경제환경위원장은 10월 30일 도의회에서 경상남도와 14개 시‧군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소상공인 정책 논의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도의회와 경상남도, 시‧군 간의 정책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소상공인 지원정책의 현안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는 허동원 경제환경위원장과 조현준 경상남도 경제통상국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전국배달업연합회 고성지부 김정수 지부장의 ‘경남도 광역형 공공배달앱 활성화와 정책 제안 발표’가 이어졌다. 이후 시・군 지역의 현재 상황과 향후과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허동원 위원장은 “공공배달앱이 소상공인과 소비자, 배달라이더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상생 플랫폼으로 정착하길 바란다”며, “경남이 타 지자체에 모범이 되는 선도적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오늘 논의를 통해 좋은 아이디어가 도출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조현준 경제통상국장은 “지난 9월 공공배달앱 출범 이후 가맹점 수가 1만 9천 개에서 2만 2천 개로 증가했고, 월 주문액도 32억 원에서 93억 원으로 늘어나는 등 실질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번 간담회가 공공배달앱의 인식 확산과 추가 활성화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시군별로 공공배달앱 확산과 지역사랑상품권 운영 등 지역 맞춤형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활발한 의견이 이어졌다.
일부 시군에서는 농식품부 할인쿠폰 종료 이후의 지속가능한 운영방안, 예산 부담 완화, 민간앱과의 경쟁력 확보 등을 과제로 제시했으며, 공공배달앱이 단기 지원을 넘어 자생할 수 있는 구조로 발전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허 위원장은 마무리 발언에서 “소상공인은 지역경제의 뿌리이자 도민의 삶과 직결된 핵심 주체”라며 “도의회는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지원체계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 경상남도와 시군 간 소상공인 정책 협력체계가 한층 강화되고, 공공배달앱과 지역화폐 등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의 실효성 제고 방안이 구체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의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