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방송뉴스 통신사=신유철 기자) 고양특례시는 2030년까지 총 3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13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대형 개발사업을 통해 30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고, 고양 순환교통체계 완성과 서울올림픽 유치 협력을 통해 고양을 역동적인 도시로 리브랜딩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고양시가 "각종 택지개발로 주거위주의 단편적 성장을 해 왔다"며, 작은 충격에도 일상을 위협 받는 상황이기에 "스타벅스, 애플 등 글로벌 기업들이 브랜드 이미지를 쇄신하고 혁신을 통해 세계적인 기업이 된 것처럼, 고양시도 전면적인 도시 리브랜딩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고양시는 이를 위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는 지난해 37.8만 평을 지정한 데 이어 추가 지정도 추진하며, 2030년까지 벤처기업 1천 개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약 1만 2천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 또한, 일산테크노밸리와 고양방송영상밸리를 통해 약 5만 2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덕양구 고양영상문화단지와 성사혁신지구 내 바이오의료 거점 육성에도 힘쓸 예정이다.
특히 일산테크노밸리 부지를 상반기 내 분양하고, 제2자유로 지하도로도 2026년까지 완공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일산테크노밸리와 창릉 일대 60만 평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경제자유구역은 상반기 신청, 하반기 발표 계획으로, 이를 통해 약 9만 명 이상의 일자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 AI 혁신TF팀을 구성하고, 이를 정책 및 행정 서비스에 적극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고양시를 할 것 많고 볼 것 많은 '꿀잼도시'로 브랜딩하여 관광형 일자리와 상권을 활성화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킨텍스 제3전시장은 올해 본공사를 시작 목표, 친환경 전시장으로 건립하며, 역과 전시장을 연결하는 지하 복합공간과 공원 조성으로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앵커호텔 착공과 주차복합빌딩도 추진 중이며, 9월에는 세계 190여 개 지방정부가 참여하는 아태총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해 킨텍스, 그리고 고양시를 대형 국제행사의 성지로 세계에 알리겠다고 밝혔다.
교통 관련해서는 대곡역과 킨텍스역을 연결하는 순환 대중교통망을 확대하고, 킨텍스역에 친환경 환승주차장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교통망 구축과 심야시간대 자율주행버스를 시범 운영할 예정이며, 고일로 대곡 연장, 주교-장항 간 도로 등 주요 도로망을 통해 고양시 내 순환도로망 완성의 포부를 밝혔다.
고양시는 2036년 서울올림픽 유치에 적극 협력하며 고양시 내에서 열릴 종목 확대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 시장은 "IOC가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는 것은 유치 의지와 통합된 여론"이라며, 고양시가 서울의 위성도시가 아닌 생활권을 함께 하는 네트워크 도시로서 진정한 메가시티 정신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이동환 시장은 "고양은 스마트 친환경 도시로서 향후 대한민국의 성장 동력이자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본다"며, 강한 희망과 의지를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