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방통신사 신유철기자 기자 | 경상남도의회 경제환경위원회 권원만 의원(국민의힘, 의령)은 10일 행정사무감사에서 경남로봇랜드재단이 2025년 테마파크 시설관리(청소·경비) 용역을 분리 발주하지않고 묶어서 전국단위 실적제한 공고를 낸 것은 명백히 지역업체 참여기회를 박탈한 행정이라고 지적하며, 향후 분리 발주 및 지역 환류 구조 마련을 제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5년 테마파크 시설관리(청소·경비) 용역은 총사업비 약 12억 6천만 원 규모로, 경남 마산로봇랜드 테마파크의 청소·경비 인력을 상주 운영하는 사업이다.
권원만 의원은 “청소·경비 업무는 고도의 전문기술이 요구되지 않으며, 도내에도 충분한 수행 역량을 갖춘 업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천소재의 업체가 수주하면서 사업비 상당 부분이 지역 외부로 유출됐다”고 비판했다.
최원기 로봇랜드재단 원장은 “입찰을 2회 진행했으나 경남 지역업체가 없어 전국으로 개방했고, 테마파크 특성상 인력 운영이 복잡해 일반용역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나라장터 공고이력에 따르면, 2024년 11월 18일 공고는 ‘이행실적 기준 관련 이견에 따른 공고문 정정 후 동일 일자 신규공고’로 이루어진 것으로, 사실상 별도 2회 입찰이라 보기 어렵다.
또한 개찰 결과를 보면 ‘유한회사 다○’ 등 경남 창원시 소재 업체가 실제로 참여한 것으로 확인되어, “지역업체가 없었다”는 재단의 설명은 사실과 다르다.
권원만 의원은 “지역업체 부재를 이유로 전국 공모를 선택했다는 해명은 설득력이 부족하다”며, “발주 단계에서부터 지역업체 참여 가능성과 진입장벽 요인을 면밀히 검토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용역은 첫 외주 전환 시점으로 지역 일자리와 지역경제로 환류될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할 수 있었던 중요한 기회였다”며, 노동만 지역에 남고 수익은 외부로 빠져나가는 구조는 더 이상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의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