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0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신유철 기자수첩] 추석 문화의 변화, 잊지 말아야 할 우리의 뿌리

추석, 전통과 현대 사이에서 새롭게 피어나다
변화하는 명절 풍경, 사라지지 않는 추석의 의미
차례 대신 여행? 변화 속에 살아있는 추석의 본질

추석은 가을의 중심에 있는 우리 고유의 대표 명절이다. 예로부터 추석은 풍성한 수확을 나누고, 가족과 친척이 모여 조상을 기리는 날로 여겨졌다. 가까운 친족들이 모여 차례를 지내며 조상의 삶을 기리고 감사하는 전통은 오랜 세월 동안 추석의 핵심 의미로 자리 잡아왔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가족 구성의 변화와 사회적 흐름 속에서 차례를 지내지 않는 가정이 늘고 있다. 한 조사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6명이 차례를 지내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이는 바쁜 일상, 가족 간의 물리적 거리, 개인주의의 확산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 추석은 10일이 넘는 긴 연휴가 이어지면서, 사람들마다 추석을 보내는 방식도 한층 다양해졌다. 이에 따라 ‘전통을 지켜야 하는가, 혹은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야 하는가’라는 고민이 사회적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많은 이들이 전통과 현대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며 추석을 보다 풍요롭고 의미 있게 보내려 한다. 기성세대가 점점 줄어들고,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추석 문화는 점차 새로운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제는 고향 대신 여행지를 선택하거나, 전통 명절 음식 대신 간편식을 준비하는 경우도 흔하다. 벌초 역시 직접 방문하기보다는 전문 서비스에 맡기는 일이 늘고 있다. 조상에 대한 예(禮) 역시 시대에 맞게 현실적인 방식으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그 대신 사람들은 긴 연휴 동안 자신만의 삶을 돌아보고, 소중한 이들과 자유로운 시간을 보내려 한다.

 

실제로 올해 추석에도 공항과 관광지에는 여행객들로 붐볐고, 항공권과 숙박 예약률은 급등했다. 명절이 가족 행사 중심에서 ‘여행의 성수기’로 변모하고 있는 모습이다. 전국 곳곳에서는 다양한 공연과 축제가 열렸고, 가족 단위 방문객들이 즐기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이처럼 명절의 모습이 달라지고 있지만, 그 중심에는 여전히 사람과 사람 사이의 ‘공감’이 있다. 과거처럼 차례상에 정성을 쏟지 않더라도, 각자의 방식으로 의미 있는 명절을 보내는 것이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 간의 명절 문화 차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출산율 저하와 핵가족화, 1인 가구 증가와 같은 사회 변화 속에서 명절 문화 역시 흐름에 따라 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석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조상을 기리고 가족이 화합하는 시간이라는 의미는 여전히 유효하다. 전통의 가치를 지키면서도, 현대의 감성과 공감을 담아 명절을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통을 잃어버리는 것에 대한 아쉬움이 존재하지만, 추석은 여전히 공동체의 정체성과 가족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날이다.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되, 우리의 뿌리와 정체성만은 잊지 않는 태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