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방통신사=신유철 기자) 청송군이 최근 대형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을 위해 ‘임시 조립형 주택’ 공급에 나선다. 군은 조속한 주거 환경 복구를 통해 군민들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데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지금은 산림 복구보다 이재민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라며, “특히 고령 인구 비율이 높은 청송에서는 스스로 집을 복구하기 어려운 노인들이 많아 정부의 적극적인 주거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청송국민체육센터 등 대피소에 머무는 이재민은 145명(4월 8일 기준)에 달한다. 윤 군수는 “장기간 대피소 생활은 감염병과 위생 문제, 심리적 불안, 추가 화재 위험 등 다양한 2차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며 “임시 조립형 주택을 하루빨리 공급해 안정적인 생활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임시 주택 마련에는 국비 50%, 도비 25%, 군비 25%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며, 군은 이재민들이 청송을 떠나지 않고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저렴하고 안정된 주거 환경’ 마련을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이러한 행정적 대응과 더불어, 지역 자원봉사자들의 헌신적인 노력도 함께 이어지고 있다. 청송군 사회복지과 자원봉사센터의 조순자 씨는 “새벽 출근과 밤늦은 퇴근으로 지칠 때도 있지만, 83개 자원봉사단체와 회원님들이 연락만 하면 언제든지 함께해주시겠다는 응원의 힘 덕분에 큰 보람을 느낀다”며 “현장의 급박한 상황 속에서도 봉사 요청에 기꺼이 협조해 주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조 씨는 이어 “예기치 않게 큰 산불이라는 재난을 겪었지만, 센터 직원과 군민, 봉사단 그리고 청송군 공무원 모두가 한마음으로 이재민을 걱정하고 극복해나가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며, “그 과정에서 다소 미흡한 점이 있더라도 함께 응원하고 믿어주셨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청송군은 이재민의 주거안정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 조기 복구에 나설 계획이다. 향후 산림 복구도 중·장기 계획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