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군 악양면 ‘마을미술관 선돌’ '꿈결의 하동, 50년 만의 귀향 전'

  • 등록 2025.10.15 10:11:15
크게보기

50여 년 만에 고향에 돌아온 이윤수 작가 작품전…11월 29일까지 열려

 

한방통신사 신유철기자 기자 | 하동군 악양면의 마을미술관 선돌에서 스무 번째 전시가 열렸다.

 

고향이 하동인 이윤수 작가 전시로, 타향살이에서 돌아온 지 10년째를 맞아 작심하고 준비한 '꿈결의 하동, 50년 만의 귀향 전'이다.

 

끝나지 않을 것 같던 뜨거운 여름이 지나고, 높은 하늘 아래 살랑거리는 들꽃들과 함께 찾아온 가을. 숨 가쁘고 치열한 도시의 일상에서 겹겹이 드리운 지리산과 드넓은 섬진강을 만나면 ‘숨이 쉬어진다’는 여행자들이 많다.

 

여행자들이 그럴진대, 청정한 이 땅에서 나고 자란 하동 사람들은 어떠할까.

 

하동 진교 하평에서 나고 자라 도시로 떠난 뒤, 50여 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온 이윤수 작가 또한 하동의 포근함을 다시 깨달았다.

 

졸업 후 잠시 공무원 생활을 하다,

 

결혼 후엔 남편의 직장을 따라 세상 여러 곳을 옮겨 지내며 살았다.

 

충실한 아내이자 아이들의 어머니로 살았지만, 언제부턴가 자신만의 것을 갖고 싶었다.

 

어린 시절 한 때, 만화책을 보고 무섭게 몰입했던 기억이 난 건 그때였다.

 

남들은 알지 못하는 불안도, 아픔도, 그림 앞에선 잊을 수 있었다.

 

몇 번의 문화센터 동인 활동을 한 것 외에 특별히 그림 수업을 받은 적은 없다.

 

그렇게 꾸준히 그려온 그림으로 몇 년 전부터 공모전 특선을 받고, 하동지역작가로 문화예술회관에서 초대전을 열기도 했다.

 

언뜻 그림을 보면 관록 있는 남자 작가를 떠올릴 만큼 힘 있는 터치와 색감의 그림을 그리는 그녀는 세상 곳곳을 여행한 풍경의 느낌을 꾸준히 화폭에 담았다.

 

어느새 일흔을 넘긴 나이에도 한 번 붓을 잡으면 7~8시간 화폭 앞에서 꼼짝 안 할 정도의 집중과 열정을 보여준다.

 

손녀를 돌보는 평범한 할머니이기도 했던 작가는 하동 고향 작업실로 돌아온 뒤, 그림에 더욱 집중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하동 살면서도 악양 쪽은 많이 가보지 못했는데 평사리 들판과 섬진강 바람을 맞으니 숨이 쉬어졌다”라고 한다.

 

이번 악양의 ‘마을미술관 선돌’에서 보여주는 '꿈결의 하동, 50년 만의 귀향 展'은 먼 길을 돌아 고향으로 돌아온 이윤수 작가의 벅찬 설렘과 감동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이번 전시는 11월 29일까지 열린다.

 

마을미술관 선돌은 2020년에 개관, 마을의 사랑방이자 옛 우물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마을의 보물이다.

 

마을공동창고를 마을주민들이 손수 정비하고 개관했다.

 

더불어 귀촌인들이 중심이 돼 여섯 명의 도슨트가 미술관은 물론 마을을 안내하는 역할로 나선 곳이기도 하다.

 

마을미술관 곁에는 새로 문을 연 형제봉 주막과 전문 작가들의 설치미술이 자리한 골목길갤러리도 볼만하다.

 

풍성한 수확의 계절, 더불어 문학과 예술의 계절에 마을미술관으로 여행 떠나 보는 것은 어떨까?


[뉴스출처 : 경상남도하동군]

신유철기자 nbu9898@nate.com
Copyright @한방통신사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종로구 김상옥로 17,206호(연지동,대호빌딩) 등록번호: 서울,아04122 | 등록일 : 2017-12-21 | 발행인 : 신유철 | 편집인 : 신유철 | 전화번호 : 02-766-1301 성남시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성남대로 1262(동신타워 3층) 전화번호 031-754-1601 호남지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 라인1차 APT(101동 104호) 전화번호 062-944-6437 강원지사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정상로 90 상가 204호 전화번호 033-572-0369 충남지사 : 대전광역시 동구 대전로 646 효동현대아파트 전화번호 010-5588-2993 Copyright @한방통신사 Corp. All rights reserved.